전파전자통신기능사 요약정리 - 1
가끔씩 올라오는 요약정리가 될 듯 싶습니다.
참고로 전파전자통신기능사는 제 2급 아마추어무선통신사와 동일한 업무를 수행 할 수 있습니다.
다만 전신(CW, 모스 부호)시험은 보지 않기 때문에 모스를 칠 수는 없지요.
정확한 뜻을 알리는 게시글이 아니고 이 정도만 알면 문제 푸는데 지장은 없다~~ 이런 느낌입니다 ㅎㅎ
[전파용어]
변조 : 우리의 목소리는 그렇게 멀리까지 가지는 못하기 때문에 우리의 목소리에 전파를 같이 실어서 보내는 것을 의미함. 사람이 수영을 하면 그리 멀리 못가지만 모터보트를 타면 멀리 갈 수 있는것과 비슷한 원리임.
AM (Amplitude Modulation) : 진폭을 변조하는 방식이다.. 주로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의 수신기가 많이 쓰고 있다.
FM (Frequency Modulation) : 주파수를 변조하는 방식이다.
[DSB와 SSB]
DSB(양측파대) : 우리가 흔히 전파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보면 가운데에 선이 있고, 위쪽과 아래쪽을 나누는 것을 볼 수 있다.
자료는 일본 위키백과, 진폭변조 게시글에서 담아왔다.
이렇게 양쪽으로 나누는데, 이 양쪽을 둘 다 사용하는 것을 DSB라고 한다.
사람의 목소리는 자연적으로 저 선에 구애받지 않고 양쪽을 둘다 사용하므로, 특별하게 처리를 할 필요가 없어 장치가 간단하다.
사람의 목소리를 거의 그대로 보낸다고 생각하면 된다.
SSB(단측파대) : 이 방식은 현재 많이 쓰이고 가장 많이 시험에 출제되는 부분 중 한 부분이다. 위쪽의 DSB가 양쪽을 다 썼다면 SSB 방식은 한쪽만 사용하는 것이다. 각각 상측파대, 하측파대라고 한다.
<특징>
-> DSB에 비해서는 자연적으로 양쪽을 동시에 쓰는 사람 목소리를 인위적으로 변화를 줘서 한쪽만 쓰게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장치가 복잡하다.
-> 그러나 한 쪽만 사용하기 때문에 오히려 이 전파를 발사하는데 드는 전기는 상대적으로 적게 들게된다.
[GMDSS, INMARSAT, DSC, EPIRB]
GMDSS : Global Maritime Distress and Safety System
-> 국제 해상 조난 및 안전제도이다.
INMARSAT : 국제 해상 위성기구. 전세계에 떠 있는 4개의 위성으로 감시하는 일종의 GPS 기능이다.
DSC : Digital Selective Call
-> 디지털 선택호출 기기로, 우리 배가 조난을 당했다 라고 하면 이 장치를 이용해서 멀리까지 조난당했다는 신호를 보내는 기계이다.
-> VHF 대역 70번 대를 사용한다.
EPIRB : 비상위치 표시 무선전화
배가 침몰했을 때, 이것이 떠오르면서 침몰한 배의 위치를 표시해 주는 장치이다.
[주파수를 나타내는 용어]
LF : 30~300kHz
MF : 300~3000kHz
HF : 3~300MHz
-> 가장 멀리까지 전송이 가능하다. 전리층이라는 반사판 역할을 하는 층이 지구 위쪽에 존재하기 때문이다.
VHF : 30~300Mhz
UHF : 300~3000Mhz
그 외에 EHF 라는것도 있지만 그다지 나오지 않는다.
* 아는 사람은 알겠지만 Hz라는 것은 주파수의 단위이고, 앞에 붙는 k는 10을 세번 곱하여 앞쪽 숫자에 같이 곱해주는 것이고, M은 10을 여섯번 곱하여 앞쪽 숫자에 같이 곱해주는 것이다. 이를 ~~번 곱하냐에 따라 10의 ~~승 혹은 ~~제곱 이라고 부른다
'자격증 > 전파전자통신기능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NMARSAT(인마셋) 시스템의 텔렉스(TLX) 전송방법 (0) | 2015.11.16 |
---|---|
전파전자통신기능사의 종사범위 (0) | 2015.10.15 |
전파전자통신기능사 요약정리 - 2 (0) | 2015.10.09 |
2015년 4회 전파전자통신기능사 필기 후기 (0) | 2015.10.04 |
전파전자통신기능사 통신영어 단어 - 1 (0) | 2015.09.30 |